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본어에서 헷갈릴 수 있는 문법들 -2-
    기초/문법 2024. 12. 31. 15:30
    728x90


     

    ~てもいい와 ~なくてもいい

     

     

    이유:

    둘 다 허락이나 필요 여부를 나타내지만, 긍정/부정의 차이가 있습니다.

     

     

    차이점:
    ~てもいい:

    "해도 된다"의 의미로 허락을 나타냄.

     

    ~なくてもいい:

    "하지 않아도 된다"의 의미로 불필요성을 나타냄.

     


    ここで写真を撮ってもいいです

    (ここで しゃしんを とってもいいです)
    여기서 사진을 찍어도 됩니다.

     

    宿題をしなくてもいいです

    (しゅくだいを しなくてもいいです)
    숙제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ずに와 ~ないで

     

     

    이유:

    둘 다 "하지 않고"를 의미하지만,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가 있음.

     

     

    차이점:
    ~ずに:

    문어체에서 주로 사용.

     

    ~ないで: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

     


    朝ご飯を食べずに出かけた

    (あさごはんを たべずに でかけた)
    아침밥을 먹지 않고 나갔다.

     

    朝ご飯を食べないで出かけた

    (あさごはんを たべないで でかけた)
    아침밥을 먹지 않고 나갔다.

     



    ~ことがある와 ~たことがある

     

     

    이유:

    둘 다 경험을 나타내지만 시제와 문맥의 차이가 있음.

     

     

    차이점:
    ~ことがある:

    가끔 발생하는 일을 의미.

     

    ~たことがある:

    과거의 경험을 의미.

     


    時々、夜更かしすることがある

    (ときどき、よふかしすることがある)
    가끔 밤늦게까지 깨어 있는 일이 있다.

     

    日本へ行ったことがある

    (にほんへ いったことがある)
    일본에 간 적이 있다.

     



    동사의 자동사와 타동사

     

     

    이유: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를 헷갈리기 쉬움.

     

     

    차이점:
    자동사:

    주어가 스스로 어떤 동작을 함.

     

    타동사:

    주어가 다른 대상에게 어떤 동작을 행함.

     


    ドアが開く

    (ドアが あく)
    문이 열린다.

    (자동사)

     

    ドアを開ける

    (ドアを あける)
    문을 연다.

    (타동사)

     



    ~に와 ~へ

     

     

    이유:

    둘 다 방향을 나타내지만, 사용 상황이 다름.

     

     

    차이점:
    ~に:

    도착지점에 초점을 둠.

     

    ~へ:

    이동 경로에 초점을 둠.

     


    帰る

    (いえ かえる)
    집에 돌아간다.

     

    帰る

    (いえ かえる)
    집으로 돌아간다.

     



    ~そうだ와 ~らしい

     

     

    이유:

    둘 다 추측의 의미가 있지만, 정보 출처가 다름.

     

     

    차이점:
    ~そうだ:

    듣거나 본 정보를 바탕으로 추측.

     

    ~らしい:

    풍문이나 소문을 바탕으로 추측.

     


    天気予報によると、雨が降るそうだ

    (てんきよほうによると、あめが ふるそうだ)
    일기예보에 따르면 비가 올 것 같다.

     

    雨が降るらしい

    (あめが ふるらしい)
    비가 온다고 한다.

     



    ~ている와 ~た

     

     

    이유:

    현재 진행과 완료 표현을 구별하기 어려움.

     

     

    차이점:
    ~ている:

    현재 진행 중이거나 상태가 지속.

     

    ~た:

    과거 완료를 나타냄.

     


    雨が降っている

    (あめが ふっている)
    비가 오고 있다.

     

    雨が降っ

    (あめが ふっ)
    비가 왔다.

     



    ~ほうがいい와 ~ほうがよさそうだ

     

     

    이유:

    둘 다 조언을 나타내지만, 확실성과 추측의 차이가 있음.

     

     

    차이점:
    ~ほうがいい:

    단정적인 조언.

     

    ~ほうがよさそうだ:

    부드러운 조언.

     


    早く寝たほうがいい

    (はやく ねたほうがいい)
    일찍 자는 게 좋다.

     

    早く寝たほうがよさそうだ

    (はやく ねたほうが よさそうだ)
    일찍 자는 게 좋을 것 같다.

     



    ~てあげる와 ~てくれる와 ~てもらう

     

     

    이유:

    모두 "주고받음"을 나타내지만, 주체와 객체에 따라 달라짐.

     

     

    차이점:
    ~てあげる:

    내가 다른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해줄 때 사용.

     

    ~てくれる:

    다른 사람이 나에게 어떤 행동을 해줄 때 사용.

     

    ~てもらう:

    내가 다른 사람에게 행동을 받아들일 때 사용.

     


    私が友達に本を貸してあげた

    (わたしが ともだちに ほんを かしてあげた)
    내가 친구에게 책을 빌려줬다.

     

    友達が私に本を貸してくれた

    (ともだちが わたしに ほんを かしてくれた)
    친구가 나에게 책을 빌려줬다.

     

    私は友達に本を貸してもらった

    (わたしは ともだちに ほんを かしてもらった)
    나는 친구에게 책을 빌려 받았다.

     



    ~ように와 ~ために

     

     

    이유: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내지만 사용 맥락이 다름.

     

     

    차이점:
    ~ように:

    어떤 상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거나 목적을 설정.

     

    ~ために:

    구체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

     


    忘れないようにメモを取る

    (わすれないように メモを とる)
    잊지 않기 위해 메모를 한다.

     

    試験のために勉強する

    (しけんの ために べんきょうする)
    시험을 위해 공부한다.

     



    ~かもしれない와 ~でしょう

     

     

    이유:

    둘 다 추측을 나타내지만 확신의 정도가 다름.

     

     

    차이점:
    ~かもしれない:

    가능성이 낮은 추측.

     

    ~でしょう:

    비교적 높은 확률의 추측.

     


    明日は雨が降るかもしれない

    (あしたは あめが ふるかもしれない)
    내일은 비가 올지도 모른다.

     

    明日は雨が降るでしょう

    (あしたは あめが ふるでしょう)
    내일은 비가 올 것이다.

     



    ~と와 ~たら

     

     

    이유:

    둘 다 조건을 나타내지만, 시간적인 순서와 결과가 다름.

     

     

    차이점:
    ~と:

    조건이 발생하면 항상 결과가 뒤따름.

     

    ~たら:

    조건이 충족된 후에 결과가 발생.

     


    春になる花が咲く

    (はるに なる はなが さく)
    봄이 되면 꽃이 핀다.

     

    春になったら花を見に行こう

    (はるに なったら はなを みに いこう)
    봄이 되면 꽃을 보러 가자.

     



    동사+ようになる와 동사+ようにする

     

     

    이유:

    변화를 나타내지만, 의지와 자연 발생의 차이가 있음.

     

     

    차이점:
    동사+ようになる:

    어떤 일이 자연스럽게 가능한 상태로 변함.

     

    동사+ようにする:

    의도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

     


    日本語が話せるようになる

    (にほんごが はなせるようになる)
    일본어를 말할 수 있게 된다.

     

    日本語を話せるようにする

    (にほんごを はなせるようにする)
    일본어를 말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にする와 ~になる

     

     

    이유:

    변화의 주체가 다름.

     

     

    차이점:
    ~にする:

    주어가 의도적으로 상태를 변화시킴.

     

    ~になる:

    상태가 자연스럽게 변함.

     


    部屋をきれいにする

    (へやを きれいにする)
    방을 깨끗하게 한다.

     

    部屋がきれいになる

    (へやが きれいになる)
    방이 깨끗해진다.

     



    ~しか와 ~だけ

     

     

    이유:

    제한을 나타내지만, 긍정/부정의 사용이 다름.

     

     

    차이점:
    ~しか:

    부정문과 함께 사용.

     

    ~だけ:

    긍정문과 함께 사용.

     


    日本語しか話せません

    (にほんごしか はなせません)
    일본어밖에 못합니다.

     

    日本語だけ話します

    (にほんごだけ はなします)
    일본어만 말합니다.

     



    수동형과 가능형

     

     

    이유:

    수동형과 가능형이 형태가 유사함.

     

     

    차이점:

    수동형:

    동작을 당하는 상황.

     

    가능형:

    동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냄.

     


    犬に手を噛まれた

    (いぬに てを かまれた)
    개에게 손을 물렸다.

    (수동형)

     

    漢字が読める

    (かんじが よめる)
    한자를 읽을 수 있다.

    (가능형)

     



    ~ても와 ~でも

     

     

    이유:

    둘 다 "라도"를 의미하지만, 명사와 동사에서의 차이가 있음.

     

     

    차이점:
    ~ても: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사용.

     

    ~でも:

    명사 뒤에서 사용.

     


    雨が降っても行きます

    (あめが ふっても いきます)
    비가 와도 갑니다.

     

    お茶でも飲みますか

    (おちゃでも のみますか)
    차라도 마실래요?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