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어체와 구어체의 문법적인 차이점들 -2-기초 2025. 1. 1. 18:24728x90
동사의 어미 변화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여 문장을 끝맺거나,「〜ている」, 「〜ます」와 같은 격식 있는 형태를 사용합니다.
行くことは大切である。가는 것은 중요하다.
勉強しているとき、集中することが重要だ。공부할 때,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동사의 어미를 간단하게 축약하거나, 친근한 형태로 사용합니다.구어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る」, 「〜よ」, 「〜ね」와 같은 어미는 대화에서 자연스러움을 제공합니다
行くのが大切だよ。가는 것이 중요해.
勉強してるとき、集中するのが大事だよ。공부할 때 집중하는 게 중요해.
부사의 사용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격식 있는 부사가 자주 사용됩니다.특히 「非常に」, 「一層」, 「極めて」와 같은 부사가 주로 등장합니다.
이러한 부사는 문장에서 더 높은 격식을 나타냅니다.
非常に重要な問題である。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一層努力をする必要がある。한층 더 노력해야 한다.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일상적인 부사가 자주 사용됩니다.「とても」, 「すごく」, 「結構」 등의 부사는 구어체에서 자주 등장하며,
좀 더 자연스럽고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すごく大事な問題だよ。
너무 중요한 문제야.
結構頑張らないといけないよ。상당히 열심히 해야 해.
명사의 사용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명사를 더 정확하게 다루고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또한, 구체적인 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彼は優れた技術者であり、彼の技術力は非常に高い。그는 훌륭한 기술자이며, 그의 기술력은 매우 높다.
구어체구어체에서는 단순한 명사를 사용하며, 명사를 생략하거나 간단한 표현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어체는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생략하기 때문에 명사 사용이 간결합니다.
彼はすごい技術者だよ。그는 대단한 기술자야.
간접화법의 차이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간접화법을 격식 있게 표현합니다.문어체에서 사용되는 간접화법은 종종 「〜と考えられている」「〜と言われている」와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彼はその問題を解決すると考えられている。그는 그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간접화법을 자연스럽고 직설적인 형태로 표현하며,「〜って言ってた」「〜と言っている」와 같은 간단한 표현이 많이 사용됩니다.
彼、あの問題を解決するって言ってたよ。그는 그 문제를 해결한다고 했어.
의문문의 차이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의문문을 더 공식적이고 격식 있게 만듭니다.의문문에서 「〜か」「〜でしょうか」와 같은 표현이 자주 사용됩니다.
この問題を解決する方法はありますか?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까?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의문문을 더 간단하고 직설적으로 사용합니다.「〜かい」「〜の?」 등의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この問題、解決する方法ある?이 문제, 해결할 방법 있어?
자주 쓰이는 구어체의 축약형
문어체에서는 문법적 규칙을 그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지만,구어체에서는 다양한 축약형이 사용됩니다.
이는 말이 자연스럽고 빠르게 이어지도록 돕습니다.
문어체: 「〜している」 → 구어체: 「〜してる」
문어체: 「〜だろう」 → 구어체: 「〜だろ」
「〜たことがある」와 「〜たことがない」의 차이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경험을 나타낼 때 「〜たことがある」를 사용해과거에 있었던 경험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こと」와 「が」가 강조되어 문장이 더욱 정중하게 느껴집니다.
私は日本に行ったことがある。나는 일본에 간 적이 있다.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문장이 간결하게 구성되므로 「〜たことがない」와 같은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여기서 「たこと」는 생략될 수 있는 경우가 많고, 말하는 사람에 따라 더 빠르고 자연스럽게 표현됩니다.
日本行ったことない。일본 간 적 없어.
의문문에서의 차이
문어체
문어체에서는 의문문을 만들 때, 「〜か」를 사용하여 문장의 끝을 명확히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는 격식 있는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명확한 질문을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この本を読むべきかどうか、考えなければならない。이 책을 읽어야 할지 말지, 생각해야 한다.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の?」, 「〜かい?」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구어체에서는 질문이 더 자연스럽고 일상적입니다.
この本読むべき?이 책 읽어야 해?
「〜だろう」와 「〜だろうか」의 차이
문어체
문어체에서 「〜だろうか」는 조금 더 정중하고 격식 있는 느낌을 주며,불확실성이나 추측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彼が来るだろうか。그가 올까?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だろう」를 사용하여 불확실성이나 추측을 간단히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彼、来るだろう。그, 올 거야.
「〜ようだ」와 「〜みたいだ」의 차이
문어체
「〜ようだ」는 추측이나 비유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이때의 표현은 문어체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더 격식 있고 공식적인 상황에 적합한 표현입니다.
彼は医者のようだ。그는 의사인 것 같다.
구어체
「〜みたいだ」는 구어체에서 더 자주 사용되며,비유적인 의미나 추측을 더 자연스럽고 일상적으로 전달합니다.
彼、医者みたいだ。그, 의사 같아.
728x90'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쓰이는 한국식 외래어 음식편 -2- (0) 2025.01.04 일본에서 쓰이는 한국식 외래어 음식편 -1- (0) 2025.01.04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점 예시문 모음 (0) 2025.01.04 교통에 관련한 일본어 (0) 2025.01.03 일본어 ん의 발음 변화 (0) 2024.12.28